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9

디마크(Demark) 지표로 읽는 KOSPI 월봉 – 실제 차트 기반 설명 1. 디마크 목표가 범위란?디마크는 매월 초, 목표고가 / 목표저가를 먼저 계산해서“이번 달은 이 박스 안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선행적으로 제시합니다.ㆍ상단 돌파 시: 매도 시점ㆍ하단 이탈 시: 매수 시점2. KOSPI 월봉 차트에서 실제 움직임보신 차트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대부분의 캔들은 디마크 목표가 범위 안에서 종가 마감합니다.주가가 디마크 범위 밖으로 잠깐 이탈했다가 다시 들어오는 경우가 많죠.그래서 차트에 윗꼬리, 아래꼬리가 자주 등장합니다.3. 디마크 상단 돌파 → 윗꼬리예시:과거 어느 달엔 주가가 디마크 상단 목표고가를 살짝 돌파하지만 종가는 다시 디마크 범위 안으로 내려옴결과: 윗꼬리 길게 형성 → 매도 시점이었음을 시사4. 디마크 하단 이탈 → 아래꼬리이번 2025년 4월:월.. 2025. 4. 10.
디마크(Demark) 지표로 읽는 KOSPI 월봉 – 실제 차트 기반 설명 1. 디마크 목표가 범위란?디마크는 매월 초, 목표고가 / 목표저가를 먼저 계산해서“이번 달은 이 박스 안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선행적으로 제시합니다.ㆍ상단 돌파 시: 매도 시점ㆍ하단 이탈 시: 매수 시점2. KOSPI 월봉 차트에서 실제 움직임보신 차트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대부분의 캔들은 디마크 목표가 범위 안에서 종가 마감합니다.주가가 디마크 범위 밖으로 잠깐 이탈했다가 다시 들어오는 경우가 많죠.그래서 차트에 윗꼬리, 아래꼬리가 자주 등장합니다.3. 디마크 상단 돌파 → 윗꼬리예시:과거 어느 달엔 주가가 디마크 상단 목표고가를 살짝 돌파하지만 종가는 다시 디마크 범위 안으로 내려옴결과: 윗꼬리 길게 형성 → 매도 시점이었음을 시사4. 디마크 하단 이탈 → 아래꼬리이번 2025년 4월:월.. 2025. 4. 10.
〈한국 IMF vs 그리스 국가부도 위기〉 – 닮은 듯 너무도 달랐던 ‘경제 파산’의 진실 1997년의 한국, 2009년 이후의 그리스.두 나라는 모두 국제 금융시장에서 신뢰를 잃고,IMF를 비롯한 국제기구에 구제금융을 요청했습니다.처음엔 이렇게 말할 수 있겠죠.“우리도 IMF 겪었으니, 그리스랑 비슷한 거 아냐?”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위기였습니다.오늘은 그 차이를 제대로 뜯어보겠습니다.그리고 왜 그리스의 위기가 훨씬 더 오래, 더 아프게 이어졌는지,그 핵심도 함께 정리해보려 합니다.1. 위기의 시작 – ‘누가 빚졌느냐’가 달랐다2. 그리스는 왜 그렇게까지 무너졌을까?겉으로 보기엔 **‘빚이 많았다’**는 이유지만,실제로는 **‘위기를 키운 구조와 시스템’**에 더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핵심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① 유로존의 빛과 그림자2001년, 그리스는 유로존(유럽연합 단일통화권)에 .. 2025. 4. 8.
그리스는 왜 망했고, 일본은 왜 안 망했을까? – 빚더미 두 나라, 엇갈린 운명 세계에는 참 많은 빚쟁이 국가들이 있습니다.그중에서도 유난히 대비되는 두 나라가 있죠.“빚 때문에 망했다”는 대표 사례, 그리스.그리고“빚이 더 많은데도 멀쩡한” 일본.신기하지 않으신가요?그리스는 국가부도 위기를 겪었고,일본은 GDP의 두 배가 넘는 부채에도 불구하고 경제대국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같은 ‘빚 많은 나라’인데, 왜 이토록 다른 길을 걷게 된 걸까요?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둘 다 빚은 많았다 – 그런데 왜 결과가 다를까?먼저 숫자부터 보겠습니다.ㆍ그리스는 2009년 기준, GDP 대비 부채 127%.ㆍ일본은 2024년 기준, GDP 대비 부채 263%.이쯤 되면 오히려 일본이 더 위험해 보여야 맞는 것 아닐까요?그런데 그리스는 유럽연합과 IMF에 손을 벌리며 구제금융을 받.. 2025. 4. 8.
단 3일, 9,280조 원 증발…글로벌 증시가 흔들렸다 2025년 4월 2일부터 4일까지, 단 3일 만에전 세계 증시에서 약 6.4조 달러,한화로 약 9,280조 원이 증발했습니다.그야말로 금융시장의 ‘블랙박스’가 열린 듯한 한 주였습니다.트리거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전 세계 수입품에 일괄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유럽산 제품에는 20%, 외국산 자동차에는 25%까지—사실상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정면 도전이었습니다.이에 맞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최대 34% 보복 관세를 선언했고,전 세계 증시는 패닉에 빠졌습니다.세계 증시는 어떻게 반응했나?→ 합계 약 6.4조 달러, 환율 1,450원 기준 9,280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한 셈입니다.이게 얼마나 큰 숫자인가요?ㆍ한국 1년 예산의 15배ㆍ삼성전자 4.. 2025. 4. 6.
디플레이션 일본이 증시 고점을 찍은 진짜 이유 30년 만에 돌아온 사무라이 불마켓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일본은 끝났다” 그 말이 틀린 이유부터 시작해보자한동안 일본을 말할 땐 늘 따라붙는 말이 있었죠.잃어버린 10년, 아니 20년, 이제는 30년인구는 줄고, 생산성은 낮고, 물가는 안 오르고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도, 시장은 죽은 듯그랬던 일본이,2024년 니케이225 지수 42,000선을 돌파하면서34년 만에 역사적 신고점을 뚫었습니다.우리가 알던 '늙은 나라' 일본이,갑자기 가장 핫한 주식시장이 된 거죠.왜 이런 반전이 가능했을까요?단순히 “엔화가 약해서”라고 치부하기엔,그 안엔 꽤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숨어 있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버블의 유령을 이겨낸 30년의 구조조정1990년대 초, 일본은 부동산·주식 버블이 붕괴되며 ..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