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0

디플레이션 일본이 증시 고점을 찍은 진짜 이유 30년 만에 돌아온 사무라이 불마켓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일본은 끝났다” 그 말이 틀린 이유부터 시작해보자한동안 일본을 말할 땐 늘 따라붙는 말이 있었죠.잃어버린 10년, 아니 20년, 이제는 30년인구는 줄고, 생산성은 낮고, 물가는 안 오르고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도, 시장은 죽은 듯그랬던 일본이,2024년 니케이225 지수 42,000선을 돌파하면서34년 만에 역사적 신고점을 뚫었습니다.우리가 알던 '늙은 나라' 일본이,갑자기 가장 핫한 주식시장이 된 거죠.왜 이런 반전이 가능했을까요?단순히 “엔화가 약해서”라고 치부하기엔,그 안엔 꽤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숨어 있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버블의 유령을 이겨낸 30년의 구조조정1990년대 초, 일본은 부동산·주식 버블이 붕괴되며 .. 2025. 4. 5.
폭락장에 대처법 지금 팔면 진짜 손해입니다 "10년 동안 들고 갈 자신 없으면 10분도 사지 마라" – 워렌 버핏그렇습니다. 주식은 장기전이에요.근데 지금? 계좌는 피눈물, 마음은 조마조마, 손가락은 '매도 버튼' 위에 살짝 얹혀 있죠.그 손가락, 잠깐만요. 절대 누르지 마세요. 지금은 감정에 흔들릴 때가 아닙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감정에 의한 매도 = 패배 버튼 누르기폭락장이 오면요, 주식은 떨어지고, 기분은 무너지고, 자존감은 바닥을 치죠.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에라 모르겠다!" 하고 파는데…이게 바로 최악의 선택입니다.감정은 냉정한 판단을 방해합니다.감정이 이끄는 매도는, ‘비싸게 사고 싸게 팔기’의 지름길입니다.공포에 팔면, 반등은 항상 남의 잔치입니다.→ 지금 팔면 나중에 반드시 후회합니다. (.. 2025. 4. 5.
쿠팡은 세금을 어디에 낼까? 그리고 한국 정부는 뭘 하고 있을까? 미국기업인 쿠팡은 세금은 어디에 내는지,한국 정부는 그냥 보고만 있는 건지,그리고 김범석 창업자가 미국을 택한 진짜 이유까지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쿠팡은 미국 기업? 그럼 세금은 미국에?쿠팡의 지주회사인 **Coupang, Inc.**는 미국 델라웨어주에 등록된 법인이에요.그래서 겉으로 보기엔 “어? 미국 기업 아냐?” 싶을 수 있어요.하지만 중요한 건 이거예요:ㆍ한국에서 돈 벌면 → 한국에 세금 낸다ㆍ미국 본사에서 벌면 → 미국에 세금 낸다즉, 쿠팡이 로켓배송하고 물건 팔아서 수익 나는 건 전부 한국 자회사에서 벌어지는 일이고,그 수익에 대해서는 한국에 법인세를 내고 있습니다.2. 그럼 왜 세금 문제로 논란이 될까?문제는 바로 **‘이전가격 거래’**라는 구조 때.. 2025. 4. 5.
쿠팡은 왜 미국으로 갔을까? 한국 떠난 이유 2021년, 한국의 대표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습니다.처음엔 다들 놀랐습니다.“아니 한국 회사가 왜 미국에 상장해?”“쿠팡 미국 기업 된 거야?”“이제 한국 떠나는 거 아냐?”하지만 이건 단순히 '외국행'이 아니라, 쿠팡이 생존을 위해 내린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그리고 그 선택은 지금까지도 여러 논란과 불이익을 불러오고 있죠. 오늘 그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1. 한국 증시, 냉정하고 짜다.쿠팡이 한국 증시에 상장했다면 어땠을까요?ㆍ매 분기 실적 발표 때마다 "또 적자냐" 욕먹기ㆍ단기 실적 못 내면 주가 곤두박질ㆍ창업자의 경영권 위협쿠팡은 초기부터 수익보다 '성장'을 추구하는 전략을 취했기 때문에, 한국 증시의 분위기와는 맞지 않았습니다.“적자 기업은 상장하면 안 .. 2025. 4. 4.
관세전쟁, 승자는 중국이다 실제 수치로 보는 트럼프 관세의 역풍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다시금 전 세계를 긴장하게 만들었습니다.그는 ‘경제 독립 선언’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무역 정책을 선포했죠:ㆍ모든 수입품에 일괄 10% 관세 부과ㆍ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20% + 추가 34% → 총 54% 관세 부과이는 미국의 평균 관세율을 **23%**까지 끌어올린 초강수였습니다.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 제조업을 살리고, 중국을 굴복시키겠다고 말했지만—현실은 그 반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소비자부터 맞았다: 미국 내수 소비의 둔화관세는 외국 기업을 압박하는 도구처럼 보이지만, 그 부담은 결국 소비자가 지게 됩니다.ㆍ2024년 미국 실질 소비 지출 증가율: 2.5%ㆍ2025.. 2025. 4. 4.
왜 러시아는 관세 안 맞고, 중국은 얻어맞았나? — 트럼프의 무역 펀치, 그리고 숨겨진 전략 카드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이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돌아오자마자 전 세계에 무역 폭탄을 터뜨렸죠.전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최소 10%, 많게는 60%에 이르는 **‘상호관세(Mutual Tariff)’**를 선언한 겁니다.“미국이 손해 보면 똑같이 받아치겠다!”는 아주 단순하고 강력한 메시지입니다.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습니다.중국은 관세 폭탄을 맞았는데, 러시아는 아무런 타격도 받지 않았다는 것.트럼프가 푸틴을 좋아해서?러시아가 가엾어서?그보다 더 큰 그림이 있었던 걸지도 모릅니다.러시아는 이미 ‘기절 상태’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과 유럽의 강력한 제재를 받으며 국제 무역에서 반쯤 퇴출당한 상태입니다.2024년 기준, 미국이 러시아.. 2025.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