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90

부동산 PF, 믿음의 금융 or 파산의 지름길? – 고급 정보 + 썰 + 흥미 폭발판으로 정리해드립니다.1. PF가 도대체 뭐길래 이 난리야?ㆍ부동산 PF =“건물 아직 없지만, 곧 생길 거니까 돈 빌려줘!”라는 미래 믿음 기반 대출 시스템입니다.쉽게 말해…> 시행사: “아직 땅이긴 한데요, 여기에 2천 세대 아파트 올릴 거예요”금융사: “팔리면 돈은 나오겠지~”→ 돈 빌려줌이게 바로 PF(Project Financing)2. 아니 근데… PF가 원래 그렇게 나쁜 거였나?아니요! 원래는 되게 훌륭한 시스템이에요.PF의 탄생 이유는?> "국가 예산 없이 민간이 인프라를 세울 수 있게 도와주는 구조"예를 들어 해외에선?ㆍ영국: 민간이 돈 끌어와서 고속도로 건설ㆍ미국: 민간 주도로 병원/발전소 짓고, 사용료로 수익 회수ㆍ중동: 석유 플랜트 사업 전부 PF .. 2025. 4. 2.
[2025년 4월 1일 증시 브리핑] 코스피 반등! 정치 이슈 속 투자심리 회복 안녕하세요. 오늘도 따끈따끈한 한국 증시 소식을 전해드리는 시간입니다.2025년 4월 1일, 만우절이지만 증시는 장난 없이 진지하게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코스피, 1% 넘게 상승…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기대감오늘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3.70포인트(1.36%) 오른 2,514.82에 마감했습니다.지난주 하락세를 보이며 불안했던 분위기와 달리, 오늘은 모처럼 활기를 되찾은 하루였습니다.이러한 반등의 배경에는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4월 4일로 확정했다는 뉴스가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심리도 다소 안정된 모습이었습니다.■ 외국인·기관 순매수… 투자심리 살아나나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2025. 4. 1.
[특집 칼럼] “동네 금고가 10조짜리 시한폭탄이었다고?” – 당신의 새마을금고, 지금 안전합니까? “우리 아버지 20년째 거래하시는 새마을금고요?거기 이자 잘 주고 친절한데요?”...라고 생각하셨다면, 잠깐 멈추고 커피 내려놓고 이 글 꼭 보세요.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뜨거운 폭탄은 핵이 아니라, **“새마을금고”**입니다.1. 새마을금고는 사실 ‘금고 코스프레한 대형기관’작고 귀여운 동네 금고 이미지?이제는 옛말.ㆍ자산 260조 원ㆍ전국 1,200개 지점ㆍ고객 수 약 2,000만 명덩치만 보면 웬만한 지방은행 세 개 합친 급입니다.근데 문제는... **'덩치만 크고, 제도는 허술'**하다는 거.> 이쯤 되면 금고가 아니라 금융계의 맨몸 괴수, "고질라" 수준2. 그리고 이 고질라, 부동산에 몰빵했다가 터졌다새마을금고가 가장 잘못한 것?바로 부동산 PF대출에 올인했다는 것.(※ PF = 건설사에 땅 .. 2025. 4. 1.
[미국 증시 브리핑] 2025년 3월 31일 마감: 다우 상승, 나스닥 하락… 혼조세 속에 출발한 2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3월 마지막 거래일이자 2분기를 눈앞에 둔 월요일(현지시간 기준) 미국 증시 마감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시장 흐름 요약다우존스 지수, 전통 제조업/산업 중심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S&P500은 대형 가치주와 일부 기술주 강세 덕분에 0.5%대 상승반면 나스닥은 일부 기술 대장주의 주가 조정으로 인해 소폭 하락◆ 왜 이렇게 움직였을까?1. 경제지표 관망 분위기이번 주에는 고용 보고서, ISM 제조업 지수 등 주요 경제지표가 연달아 발표될 예정입니다.투자자들은 경기 둔화와 금리 인하 가능성 사이에서 방향을 가늠하고 있습니다.2. 연준(Fed) 정책 주시제롬 파월 의장이 연설 예정인 가운데, 시장은 여전히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2025. 4. 1.
2025년 3월 31일 한국 증시 브리핑 — 공매도 재개 첫날, 시장은 '쇼크'에 빠졌다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2025년 3월 31일 오늘 한국 증시는 그야말로 '패닉'에 가까운 하루였습니다. 바로 공매도 전면 재개라는 메가 이벤트 때문이었죠. 오늘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공매도 재개, 17개월 만의 복귀… 시장은 즉각 반응오늘부터 한국 증시는 2023년 11월 이후 약 17개월 만에 공매도 전면 재개에 들어갔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우려하던 일이 현실이 된 순간, 시장은 빠르게 반응했습니다.공매도 거래대금: 약 1조 7천억 원 (역대 최대 수준)외국인 비중: 전체 공매도 거래의 90% 이상 차지특히 외국계 자금이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시장 전반에 강한 매도 압력이 형성됐습니다.■ 코스피·코스닥 급락… 이차전지·반도체 직격탄● 지수.. 2025. 3. 31.
“잃어버린 30년” 대한민국버전? 그때 그 일본, 지금 이 한국… 너무 닮았다“혹시 우리도 일본처럼 되는 거 아냐?”요즘 경제 얘기 나오면 자주 들리는 말이죠. 그냥 기분 탓일까요? 아니면 진짜 ‘잃어버린 30년’ 대한민국 버전의 서막이 열리고 있는 걸까요?그래서 오늘은 1990년대 일본과 2020년대 대한민국,이 둘이 얼마나 닮았는지를 비교해보려 합니다.1. 부동산 버블… 어디서 본 듯한 장면ㆍ일본 1980년대:“도쿄 땅값이면 미국 전역을 산다”는 말이 있었어요.건물 하나 팔아서 은행 차리고, 땅 팔아서 재벌 되는 게 가능했던 시절. 결국 1991년 거품이 ‘퐁’ 터졌죠.ㆍ한국 2020년대:“집 안 사면 바보”라는 말이 당연했던 지난 몇 년.영끌·패닉바잉·부린이… 익숙한 단어들이죠?서울 아파트 값이 연봉 20년 모아도 안 되는 수준까지..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