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108

ETF vs ETN – 겉모습은 같지만, 속은 완전 딴판 ETF와 ETN, 둘 다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고, 요즘 투자 커뮤니티에서 많이 회자되는 이름들입니다.하지만 한쪽은 펀드, 다른 쪽은 빚입니다.그리고 그 차이는… 때로 당신의 전 재산을 갈라놓을 수도 있습니다.1. ETF는 실제 자산을 가진 펀드다ETF는 자산운용사가 만든 상품입니다.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정해진 지수나 종목에 실제로 투자합니다.예를 들어,ㆍTQQQ는 나스닥100 지수를 3배 추종하는 ETF,ㆍSOXL은 반도체 지수를 3배 추종하죠.이들은 실제 주식, 선물 등을 매매하며 운용되고,투자자가 ETF를 사면 실제 자산을 간접 소유하게 되는 겁니다.> ETF는 말 그대로 **펀드(펀드매니저가 굴리는 상품)**입니다.그리고 이 펀드는, 우리 돈으로 실제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죠.2. ETN은 약속일.. 2025. 4. 23.
우리나라 가계부 – 세금은 어디로, 얼마나, 왜 쓰일까? "내가 낸 세금, 국가는 어떻게 쓰고 있을까?"소득세, 부가세, 자동차세, 지방세…우리가 일상에서 내는 세금들은 모두 모여 국가 예산,즉 대한민국의 공식 가계부를 구성합니다.하지만 매년 700조 원이 넘는 예산이 어디로 흘러가는지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게다가 그 돈이 현명하게 쓰이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더 적죠.지금부터 우리나라 가계부의 수입과 지출,그리고 그 속에 숨어 있는 문제점과 왜곡된 우선순위까지한눈에 들여다보겠습니다.1. 2024년 대한민국 예산 개요ㆍ총지출: 730조 원ㆍ총수입: 642조 원ㆍ재정적자: 88조 원ㆍ국채 발행 예정액: 110조 원들어오는 돈보다 나가는 돈이 많고,그 차이를 빚으로 메우는 구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마치 카드값이 월급을 초과하는 가계부처럼,지속 가능성에 .. 2025. 4. 22.
왜 대구·경북은 '미분양의 무덤'이 되었을까? 공급의 과욕, 수요의 착시, 그리고 사라지는 사람들 1. 대한민국 부동산의 가장 어두운 지도2025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많이 쌓인 지역은 단연 대구와 경북입니다.ㆍ대구: 미분양 8,807호, 준공 후 미분양 2,674호ㆍ경북: 미분양 약 5,000호, 지방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음이들 지역은 전체 미분양 주택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며,전국적으로도 ‘미분양 집중 위험 지역’ 1·2위를 다투는 지역입니다.하지만 이 결과는 단순히 “집을 너무 많이 지었기 때문”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2. 이 지역만 유독 심각한 5가지 구조적 이유① 공급 폭탄 – 수요를 초과한 ‘건설의 욕심’대구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서울 다음으로 가장 많은 아파트를 새로 지은 도시입니다.불과 5년 만에 약 13만 세대가 공급됐죠. (서울은 약 20만 세대).. 2025. 4. 21.
건설업 무너지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진짜로 생각보다 훨씬 심각한 이야기 1. 그냥 아파트 몇 채 안 팔리는 수준이 아니다요즘 뉴스 보면 "미분양이 늘었다", "건설사가 어렵다" 하는 이야기 많죠?그런데 그게 단순히 아파트가 안 팔려서 좀 손해봤다 수준이 아니에요.건설업이 무너지면, 이건 단순한 업종 하나가 죽는 게 아니고우리나라 경제 전체가 지진처럼 흔들리는 일이에요.왜냐고요?2. 대한민국 경제의 15%가 건설로 굴러간다2024년 기준으로 건설업이 차지하는 GDP 비중은 약 15.5%고용 인구도 약 190만 명 이상이에요.건설 하나로 10명 중 1~2명이 먹고산다는 얘기죠.> 한 마디로 건설업이 멈추면, 경제 자체가 브레이크 걸린다는 말이에요.3. 미분양이 왜 위험하냐고요?지금 전국에 미분양 아파트가 7만 호 넘어요.심지어 다 지어놓고도 안 팔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2만.. 2025. 4. 21.
미국 국채의 주인공들 – 누가 세계 최강국의 ‘빚’을 쥐고 있을까? 미국은 매년 어마어마한 돈을 빌립니다.2025년 현재, 미국 국채 잔액은 34조 달러,달러 기준으로 지구상 가장 큰 ‘빚’입니다.그런데 이 빚은 누군가가 빌려줘야 하죠.그렇다면, 과연 누가 미국에 이렇게 막대한 돈을 빌려준 걸까요?바로 오늘의 주제, ‘미국 국채의 큰손’들입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미국 국채, 단순한 채권이 아니다미국 국채는 단순한 이자 수익용 채권이 아닙니다.그것은 달러 패권의 상징,그리고 전 세계 자산시장의 기준점이죠.ㆍ미국 국채 금리 = 세계 금융의 기준금리ㆍ국채 가격 = 전 세계 위험자산의 온도계ㆍ국채 보유자 =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플레이어2. 누가 가장 많이 들고 있나? 큰손들 ● 미국 국내 보유자> 총합: 약 18조 달러 이상 → 전체의 50% 이상● 해외 .. 2025. 4. 16.
엔화 캐리 트레이드, 일본 부채에 포함될까? – 숫자로 안 잡히는 그림자 자금의 진실 “일본은 세계에서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인데, 왜 위기가 안 오지?”“일본 국채는 대부분 일본인이 보유하고 있다던데?”“근데 엔화 캐리 트레이드는 왜 그렇게 규모가 크다고 하지?”“이게 일본의 국가부채나 가계부채에 포함되는 건가?”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오늘은 이 복잡한 질문들을 쉽고 흥미롭게, 팩트 중심으로 풀어보겠습니다.■ 1. 일본 국채는 일본인의 빚이다먼저, 일본 국채(JGB)는 이렇게 만들어집니다:> 일본 정부가 돈이 필요할 때 → 일본 국민, 은행, 보험사에게 국채를 팔아 돈을 빌림이건 **일본의 공공부채(국가부채)**입니다.2024년 기준, 일본의 국가부채는 **GDP 대비 약 260%**에 달하지만,그 중 90% 이상이 일본 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습니다.즉, 외국 자본에 대한 ..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