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7

쿠팡은 왜 미국으로 갔을까? 한국 떠난 이유 2021년, 한국의 대표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습니다.처음엔 다들 놀랐습니다.“아니 한국 회사가 왜 미국에 상장해?”“쿠팡 미국 기업 된 거야?”“이제 한국 떠나는 거 아냐?”하지만 이건 단순히 '외국행'이 아니라, 쿠팡이 생존을 위해 내린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그리고 그 선택은 지금까지도 여러 논란과 불이익을 불러오고 있죠. 오늘 그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1. 한국 증시, 냉정하고 짜다.쿠팡이 한국 증시에 상장했다면 어땠을까요?ㆍ매 분기 실적 발표 때마다 "또 적자냐" 욕먹기ㆍ단기 실적 못 내면 주가 곤두박질ㆍ창업자의 경영권 위협쿠팡은 초기부터 수익보다 '성장'을 추구하는 전략을 취했기 때문에, 한국 증시의 분위기와는 맞지 않았습니다.“적자 기업은 상장하면 안 .. 2025. 4. 4.
관세전쟁, 승자는 중국이다 실제 수치로 보는 트럼프 관세의 역풍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다시금 전 세계를 긴장하게 만들었습니다.그는 ‘경제 독립 선언’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무역 정책을 선포했죠:ㆍ모든 수입품에 일괄 10% 관세 부과ㆍ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20% + 추가 34% → 총 54% 관세 부과이는 미국의 평균 관세율을 **23%**까지 끌어올린 초강수였습니다.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 제조업을 살리고, 중국을 굴복시키겠다고 말했지만—현실은 그 반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소비자부터 맞았다: 미국 내수 소비의 둔화관세는 외국 기업을 압박하는 도구처럼 보이지만, 그 부담은 결국 소비자가 지게 됩니다.ㆍ2024년 미국 실질 소비 지출 증가율: 2.5%ㆍ2025.. 2025. 4. 4.
왜 러시아는 관세 안 맞고, 중국은 얻어맞았나? — 트럼프의 무역 펀치, 그리고 숨겨진 전략 카드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이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돌아오자마자 전 세계에 무역 폭탄을 터뜨렸죠.전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최소 10%, 많게는 60%에 이르는 **‘상호관세(Mutual Tariff)’**를 선언한 겁니다.“미국이 손해 보면 똑같이 받아치겠다!”는 아주 단순하고 강력한 메시지입니다.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습니다.중국은 관세 폭탄을 맞았는데, 러시아는 아무런 타격도 받지 않았다는 것.트럼프가 푸틴을 좋아해서?러시아가 가엾어서?그보다 더 큰 그림이 있었던 걸지도 모릅니다.러시아는 이미 ‘기절 상태’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과 유럽의 강력한 제재를 받으며 국제 무역에서 반쯤 퇴출당한 상태입니다.2024년 기준, 미국이 러시아.. 2025. 4. 4.
무역수지, 나라살림의 건강검진표 – 한국은 흑자, 미국은 적자. 왜 다를까? 그리고 그게 뭐가 중요할까? –“이번 달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래요.”“미국은 또 적자랍니다.”뉴스에서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그런데…무역수지가 뭔지, 왜 중요한지,그리고 그게 경제나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진짜로 이해하고 계신가요?이번 글에서는무역수지가 무엇인지최근 한국과 미국의 흐름은 어떠한지그 숫자가 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쉽고 흥미롭게, 그러나 깊이 있게 정리해드릴게요.무역수지란 무엇인가요?무역수지 = 수출 – 수입입니다.우리가 외국에 판 것(수출)에서,외국에서 사들인 것(수입)을 뺀 값이죠.수출이 더 많으면 흑자수입이 더 많으면 적자이 단순한 숫자가산업, 고용, 환율, 부채, 국가신용, 정치까지전부에 영향을 미칩니다.이건 단순한.. 2025. 4. 4.
2025, 미국은 왜 관세폭탄을 던질까?? 2025년, 미국은 왜 전 세계에 세금 폭탄을 터뜨렸을까?2025년,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돌아오자마자 깜짝 선언을 합니다.“모든 수입품에 최소 10% 관세!무역 적자국에는 최대 60%까지 부과하겠다!”전 세계가 깜짝 놀랐고, 동맹국들까지 긴장했습니다.이쯤 되면 궁금해지죠. 도대체 왜 또 관세일까요?미국은 지금 무슨 계산을 하고 있는 걸까요?1. 미국은 여전히 ‘적자 대왕’이다2024년,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무역적자를 기록했습니다.ㆍ무역적자 총액: 약 1조 1,000억 달러ㆍ그중 중국과의 적자: 약 3,200억 달러ㆍ독일·멕시코·베트남 등과도 수백억 달러 규모의 적자를 보고 있었죠.트럼프는 말합니다.> “우리가 만든 돈으로 남의 공장을 살리고 있어요.이걸 바로잡기 전까진 미국 제조업은 못 살아납.. 2025. 4. 3.
– 200년 동안 관세로 세상을 흔들어온 이야기 – 관세로 본 미국의 속내“미국은 자유무역의 수호자다?”표면적으로는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역사 속 미국은 의외로 자주, 때로는 꽤 강하게 관세라는 무기를 휘둘러 왔습니다. 단순히 경제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정치적 도구, 외교적 압박, 심지어 국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도 쓰였죠.이번 글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관세 정책들을 명분 – 관세율 – 결과의 틀로 정리하고, 그 뒤에 어떤 국제 정세가 펼쳐졌는지 흥미롭게 풀어보겠습니다.1. 1789년 – 독립 후 첫 관세, 나라 살림을 열다명분:미국이 독립은 했지만, 돈이 없었습니다. 세금 제도도 엉성했고, 전쟁 빚은 산더미였죠.그래서 정부가 생각한 것이 “들어오는 외국 물건에 세금 매기자”는 아이디어였습니다.덤으로 영국 제품의 시장 침투를 막고 자국..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