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1일, 미국 증시가 혼조세 속에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와 S&P500은 소폭 상승하며 강보합세를 보였고, 나스닥은 4주 연속 하락을 끊고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시장 곳곳에서는 여전히 기업 실적 경고, 무역 긴장,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드러났는데요.
주요 지수 및 핵심 이슈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3대 지수 마감 현황 (2025년 3월 21일 기준)

ㆍ다우와 S&P500, 소폭 상승
ㆍ 나스닥, 4주 만에 상승 전환 성공
2. 오늘 증시를 흔든 주요 이슈
(1) FedEx (페덱스) - 실적 전망 하향, 주가 10% 급락
연간 실적 가이던스 하향 발표
글로벌 경기 둔화, 물류 수요 감소 우려
주가 -10.9% 급락
페덱스는 경기 민감주 대표주자인 만큼, 이번 하향 조정이 전체 시장에 경기 둔화 신호로 받아들여졌습니다.
(2) Nike (나이키) - 관세 부담, 소비 둔화 전망… 주가 6% 하락
미·중 관세 부담, 글로벌 소비 둔화 언급
향후 매출 성장 둔화 전망 발표
주가 -6% 하락
글로벌 소비 경기의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3) Micron Technology (마이크론) - AI 특수에도 하락
AI 메모리칩 수요 급증으로 2분기 매출 59억 달러 (전년 대비 +58%)
3분기 가이던스도 호조 전망
그러나 주가 -7% 하락
단기 급등 부담감과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으로 차익 실현 매물 쏟아짐.
3. 경제 지표 발표

ㆍ주택판매는 예상보다 강한 회복세
ㆍ경기선행지수 3개월 연속 하락 → 경기 둔화 우려 지속
4. 시장 총평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단기 반등에 성공했지만, 기업 실적 경고와 경기 불확실성이 시장을 짓누르는 모습입니다.
특히 페덱스와 나이키의 부정적 전망은 투자자들에게 글로벌 경기 둔화 리스크를 다시 상기시켰고,
마이크론의 실적 호재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주 차익 매물이 출회되었습니다.
5. 투자자 체크 포인트
ㆍ미·중 무역 정책 및 관세 동향
ㆍ경기 둔화 시그널 지속 여부 (FedEx, 경기선행지수 등)
ㆍ반도체·소비주 고점 부담 여부
ㆍ향후 연준(Fed) 금리 정책 발표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가 바뀐다? 돈 물려주기, 앞으로 더 쉬워질까? (0) | 2025.03.23 |
---|---|
일본, 17년 만의 금리 인상! 금리 0%에서 0.5%로… 일본 경제, 엔화는 어디로? (0) | 2025.03.22 |
2025년 3월 21일 한국 증시 브리핑: 코스피 5일 연속 상승, 자동차·배터리주 강세 (0) | 2025.03.21 |
2025년 3월 20일(현지시간), "FOMC 후폭풍? 어제 미국 증시가 요동친 이유" (0) | 2025.03.21 |
3/20일(목) 한국 증시 브리핑: 코스피 2,630 재돌파, 삼성전자·하이닉스 반등!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