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1

건설업 무너지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진짜로 생각보다 훨씬 심각한 이야기 1. 그냥 아파트 몇 채 안 팔리는 수준이 아니다요즘 뉴스 보면 "미분양이 늘었다", "건설사가 어렵다" 하는 이야기 많죠?그런데 그게 단순히 아파트가 안 팔려서 좀 손해봤다 수준이 아니에요.건설업이 무너지면, 이건 단순한 업종 하나가 죽는 게 아니고우리나라 경제 전체가 지진처럼 흔들리는 일이에요.왜냐고요?2. 대한민국 경제의 15%가 건설로 굴러간다2024년 기준으로 건설업이 차지하는 GDP 비중은 약 15.5%고용 인구도 약 190만 명 이상이에요.건설 하나로 10명 중 1~2명이 먹고산다는 얘기죠.> 한 마디로 건설업이 멈추면, 경제 자체가 브레이크 걸린다는 말이에요.3. 미분양이 왜 위험하냐고요?지금 전국에 미분양 아파트가 7만 호 넘어요.심지어 다 지어놓고도 안 팔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2만.. 2025. 4. 21.
〈2편〉 외환보유고로 환율을 지킨다는 건 무슨 뜻일까? – 조용한 개입의 기술 “한국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했다.”경제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말입니다.하지만 실제로 무슨 행동을 한 걸까?달러를 푼다? 외환보유고를 사용한다? 그게 어떻게 작동하지?이번 편에서는외환보유고가 실제 환율 방어에 어떻게 사용되는지,그리고 과거 위기 때 실제 어떻게 투입되었는지쉽고도 깊게 풀어보겠습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환율이 급등하는 이유부터 이해하자먼저, 원/달러 환율이 오른다는 건→ 달러가 귀해진다는 뜻입니다.이런 상황은 왜 발생할까요?ㆍ외국인이 한국 자산을 팔고 자금을 회수할 때ㆍ수입업체들이 결제할 달러를 대거 사들일 때ㆍ미국 금리가 오르며 전 세계 자금이 달러로 쏠릴 때ㆍ전쟁이나 금융위기 등 지정학적 불안이 커질 때결국, 시장에 달러 수요가 급증하면달러 값이 오르고 (환율 상승).. 2025. 4. 16.
〈1편〉 외환보유고, 왜 그렇게 중요할까? – IMF 사태를 기억하십니까 “지금 우리나라가 가진 달러가 바닥났습니다.”지금이 아니라 1997년,뉴스 속 이 한 문장이대한민국을 IMF 외환위기로 몰아넣었습니다.그리고 이 끔찍한 위기의 중심에 있던 단어가 바로**‘외환보유고’**입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외환보유고란 무엇인가요? – 국가의 ‘달러 비상금’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Reserves)는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 자산의 총합입니다.쉽게 말해, 나라가 위기일 때 꺼내 쓰는 달러 저금통, 혹은 비상금이라 생각하면 됩니다.외환보유고의 구성은 이렇게 생겼습니다:2. 외환보유고가 왜 그렇게 중요할까?외환보유고는 단순한 ‘보유 자산’이 아닙니다.나라의 체력, 경제의 신뢰도, 국제 거래의 안전판 역할을 합니다.ㆍ환율 방어의 핵심 무기환율이 급등.. 2025. 4. 16.
미국 국채의 주인공들 – 누가 세계 최강국의 ‘빚’을 쥐고 있을까? 미국은 매년 어마어마한 돈을 빌립니다.2025년 현재, 미국 국채 잔액은 34조 달러,달러 기준으로 지구상 가장 큰 ‘빚’입니다.그런데 이 빚은 누군가가 빌려줘야 하죠.그렇다면, 과연 누가 미국에 이렇게 막대한 돈을 빌려준 걸까요?바로 오늘의 주제, ‘미국 국채의 큰손’들입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1. 미국 국채, 단순한 채권이 아니다미국 국채는 단순한 이자 수익용 채권이 아닙니다.그것은 달러 패권의 상징,그리고 전 세계 자산시장의 기준점이죠.ㆍ미국 국채 금리 = 세계 금융의 기준금리ㆍ국채 가격 = 전 세계 위험자산의 온도계ㆍ국채 보유자 =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플레이어2. 누가 가장 많이 들고 있나? 큰손들 ● 미국 국내 보유자> 총합: 약 18조 달러 이상 → 전체의 50% 이상● 해외 .. 2025. 4. 16.
엔화 캐리 트레이드, 일본 부채에 포함될까? – 숫자로 안 잡히는 그림자 자금의 진실 “일본은 세계에서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인데, 왜 위기가 안 오지?”“일본 국채는 대부분 일본인이 보유하고 있다던데?”“근데 엔화 캐리 트레이드는 왜 그렇게 규모가 크다고 하지?”“이게 일본의 국가부채나 가계부채에 포함되는 건가?”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오늘은 이 복잡한 질문들을 쉽고 흥미롭게, 팩트 중심으로 풀어보겠습니다.■ 1. 일본 국채는 일본인의 빚이다먼저, 일본 국채(JGB)는 이렇게 만들어집니다:> 일본 정부가 돈이 필요할 때 → 일본 국민, 은행, 보험사에게 국채를 팔아 돈을 빌림이건 **일본의 공공부채(국가부채)**입니다.2024년 기준, 일본의 국가부채는 **GDP 대비 약 260%**에 달하지만,그 중 90% 이상이 일본 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습니다.즉, 외국 자본에 대한 .. 2025. 4. 13.
버크셔 해서웨이 – 워렌 버핏의 투자제국을 읽는 법 BRK.A와 BRK.B, 그리고 그 압도적인 시가총액 이야기 1. 버크셔 해서웨이란 무엇인가?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단순한 투자회사가 아닙니다.이는 워렌 버핏의 철학과 투자관이 집약된 투자제국이며, 지금도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존경하는 기업 중 하나로 꼽히죠.원래는 1839년에 만들어진 섬유회사였지만, 1965년 워렌 버핏이 인수한 후 완전히 탈바꿈했습니다. 그는 섬유업을 접고, 보험업과 다양한 산업군에 투자하는 지주회사로 전환시켰죠.2. 워렌 버핏의 투자 기지이자 브랜드버크셔는 단순히 주식을 사고파는 게 아니라, 우량 기업을 통째로 인수하고 장기 보유하는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보유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완전 인수한 기업ㆍGEICO (자동차 보험)ㆍBNSF (미국 최대 화물 철도)ㆍSee’s Candies, Da..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