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이 4천만 원 넘는다던데, 내 월급은 왜 이 모양이지?"
매년 발표되는 평균 연봉 통계는 꽤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막상 내 월급을 보면 통장 잔고는 빠듯합니다.
그렇다면 2025년 대한민국의 평균 연봉은 얼마이며, 실제 직장인들의 연봉은 어떤 수준일까요?
이번 글에서 현실적인 연봉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2025년 대한민국 평균 연봉은?
2025년 대한민국 직장인의 평균 연봉은 약 4,332만 원입니다.
이 수치는 정부와 통계청에서 발표한 공식 데이터이지만,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현실과는 차이가 큽니다.
왜냐하면 평균 연봉을 받는 사람보다, 평균 이하를 받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중위값(한 가운데 위치한 연봉)을 기준으로 하면 3,500만 원 이하가 더 현실적인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연령별로 보면 평균 연봉은 어떻게 변할까요?
2. 연령별 평균 연봉 (2025년 기준)

연봉 5천만 원이면 월 400만 원 받을 줄 알았다고요?
하지만 세금과 4대 보험을 제외하면 실제 월급은 생각보다 낮습니다.
연봉 3천만 원이면 실수령액은 월 200만 원 수준,
연봉 5천만 원이어도 월급은 370~390만 원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연봉이 높아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3. 평균 연봉과 실제 연봉이 차이나는 이유
1) 대기업 vs. 중소기업 연봉 차이
같은 직장인이어도 회사 규모에 따라 연봉이 크게 달라집니다.
대기업 평균 연봉: 약 6,521만 원
중소기업 평균 연봉: 약 3,493만 원
즉, 대기업 근로자들이 평균을 끌어올리면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평균 연봉과 현실 연봉의 괴리를 느낄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2) 직군별 연봉 차이
연봉은 업종과 직군에 따라도 크게 차이 납니다.
ㆍ임원/관리직: 1억 7,153만 원
ㆍ금융/IT 개발자: 7,000만 원 이상
ㆍ제조업/사무직: 3,500만 원 수준
:서비스업/요식업: 3,000만 원 이하
고연봉 직군이 평균을 끌어올리면서, 실제 다수 직장인들의 연봉은 평균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3) 세전 연봉 vs. 실수령액 차이
연봉 5천만 원이라고 해도 월급으로 그대로 받는 게 아닙니다.
연봉 5,000만 원의 실수령액 → 월 약 370만 원
연봉 3,000만 원의 실수령액 → 월 약 230만 원
연봉이 높아 보여도 세금과 공제를 떼고 나면 실제 월급은 예상보다 적습니다.
4) 평균 연봉 통계의 함정
평균 연봉은 일부 고연봉자가 전체 수치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에 10명이 있는데 CEO가 연봉 10억 원을 받는다면?
나머지 9명이 연봉 4천만 원을 받아도, 평균 연봉은 1억이 넘습니다.
즉, 현실적인 연봉 수준을 알고 싶다면 중위값(가운데 연봉)을 봐야 합니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제철, 끝없는 추락… 철강 산업의 붕괴 신호탄인가? (0) | 2025.03.15 |
---|---|
미국 정부 셧다운! 이번에도 정치 쇼? 아니면 진짜 위기? (0) | 2025.03.14 |
AI가 이미 삼켜버린 직업들 – 지금 사라지고 있는 일자리 (0) | 2025.03.13 |
연준은 금리를 내렸는데… 시장은 패닉에 빠졌다 (0) | 2025.03.12 |
2025년 3월 근로장려금 신청 진행 중!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