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공부

엔비디아의 역사 (1편): 그래픽 혁명을 일으킨 기업의 시작

by 티끌모아백억 2025. 3. 9.
반응형



1993년, 엔비디아가 태어나다

1993년, 실리콘밸리에서 세 명의 엔지니어가 한 가지 목표를 세웠다.
"미래의 컴퓨팅은 그래픽이 중심이 될 것이다."

당시 컴퓨터 시장은 CPU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었고, 그래픽 연산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젠슨 황(Jensen Huang), 크리스 말라초프(Chris Malachowsky), 커티스 프리엠(Curtis Priem) 이 세 사람은 CPU가 아닌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라는 개념을 도입하면 훨씬 강력한 그래픽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렇게 탄생한 회사가 바로 엔비디아(NVIDIA) 다.

이들이 내세운 전략은 "PC 그래픽 시장을 혁신하자" 였고, 첫 번째 제품 개발에 착수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첫 번째 도전: NV1 (1995년)

엔비디아는 1995년 NV1이라는 첫 번째 그래픽 카드를 출시했다.
NV1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술을 적용했지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NV1의 문제점

1. DirectX와의 비호환성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임 개발을 위한 새로운 그래픽 API인 DirectX를 발표했다.

하지만 NV1은 DirectX가 아닌 자체적인 그래픽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게임 개발자들이 NV1을 활용하기 어려웠다.



2. 기존 게임과의 충돌

NV1은 곡선 기반의 그래픽 연산 방식을 사용했는데, 대부분의 게임이 정사각형 픽셀 기반이었기 때문에 최적화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NV1은 실패했지만, 엔비디아는 이를 교훈 삼아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RIVA 시리즈의 성공 (1997~1998년)

NV1의 실패 이후, 엔비디아는 게임 개발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마이크로소프트의 DirectX 표준을 따르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했다.

그 결과, 1997년 RIVA 128을 출시했다.

RIVA 128의 성공 요인

1. DirectX와의 호환성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DirectX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대부분의 게임에서 원활하게 작동했다.



2. 강력한 성능

동시대 경쟁 제품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3D 게임에서도 뛰어난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후 RIVA TNT(1998년) 를 출시하면서, 엔비디아는 본격적으로 GPU 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99년, '세계 최초의 GPU' 탄생: GeForce 256

1999년, 엔비디아는 게임 업계를 완전히 뒤바꿀 혁신적인 제품을 발표한다.
바로 GeForce 256.

GeForce 256은 세계 최초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라고 불린다.
기존 그래픽 카드는 단순히 CPU의 명령을 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했지만,
GeForce 256은 그래픽 연산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최초로 도입했다.

GeForce 256의 혁신적인 기술

1. 하드웨어 T&L(Transform & Lighting) 지원

3D 그래픽을 구현할 때 필요한 변환(Transform)과 조명(Lighting) 연산을 GPU가 직접 처리함으로써, CPU의 부담을 크게 줄였다.



2. 초기 셰이더 기술 도입

그래픽 연산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 수 있는 셰이더(shader) 기술이 일부 적용되었다.



3. 게이밍 성능의 획기적인 향상

기존 그래픽 카드보다 훨씬 뛰어난 프레임 속도를 제공하며, 3D 게임 환경을 대폭 개선했다.




이러한 혁신 덕분에 GeForce 256은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고,
이때부터 엔비디아는 본격적으로 GPU 시장의 절대강자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GeForce 2, 3, 4 시리즈로 시장을 장악하다 (2000~2002년)

GeForce 2 (2000년)

GeForce 256의 성공 이후, 엔비디아는 더욱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는 GeForce 2를 출시했다.

멀티 텍스처링 기술을 추가해 게임 그래픽을 더욱 사실적으로 만들었고, 연산 속도가 대폭 향상되었다.


GeForce 3 (2001년)

최초로 프로그래머블 셰이더(Shader Model 1.0) 를 지원하여 게임 개발자들에게 더욱 강력한 그래픽 기술을 제공했다.

이 기술을 통해 그래픽 품질이 더욱 현실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후 GPU의 표준 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GeForce 4 (2002년)

GeForce 3보다 더욱 향상된 성능과 저전력 설계를 도입했다.

이 시기부터 엔비디아는 게임 시장뿐만 아니라 워크스테이션 및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GeForce 시리즈가 연달아 성공하면서, 엔비디아는 AMD(당시 ATI)와의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게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편 마무리: 엔비디아는 어떻게 GPU 시장을 장악했나?

1. NV1의 실패를 교훈 삼아 DirectX 기반 기술을 채택


2. RIVA 시리즈로 시장 진입 성공 (1997~1998년)


3. 세계 최초의 GPU, GeForce 256 출시 (1999년)


4. GeForce 2, 3, 4 시리즈로 게이밍 GPU 시장 장악 (2000~2002년)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엔비디아는 GPU 시장의 절대적인 강자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 시기를 기반으로 엔비디아는 게임을 넘어 AI와 데이터 연산 시장까지 진출하게 된다.

2편에서는 2006년 CUDA의 등장부터, 엔비디아가 AI 반도체 시장의 강자가 된 과정을 다룰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