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17 인플레이션과 지급준비제도 인플레이션이란? 일단 안좋은것이다. 화폐가 시중에 많이 공급되어시 물가가 올라가는것이다. 원래 물가는 조금씩 조금씩 올라가야되는데, 부담이 될정도로 올라가는현상이다. 사실 자본주의에서는 물가는 조금씩 올라갈수밖에 없다. 왜냐? 우리는 돈을 은행에 저금을 하고 대출을 받는다. 그런데 은행도 하나의 사업인데, 그 은행은 어디서 돈을 끌어모아서 그 많은 돈을 대출해주는것일까? 은행의 "지급준비제도" 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급준비제도란 가령 시장에 100만원만 있다고하자. 이 돈을 A은행에 저금을 했다면 은행은 10%인 10만원만 두고 나머지 90만원은 대출을 할수있다. 그렇다면 은행이 90만원을 대출해주면 시장에있는돈(100만원) +A 은행이대출가능돈(90만원) =190만원 순식간에 100만원이 190만원이 .. 2022. 12. 4. 인플레이션과 지급준비제도 인플레이션이란? 일단 안좋은것이다. 화폐가 시중에 많이 공급되어시 물가가 올라가는것이다. 원래 물가는 조금씩 조금씩 올라가야되는데, 부담이 될정도로 올라가는현상이다. 사실 자본주의에서는 물가는 조금씩 올라갈수밖에 없다. 왜냐? 우리는 돈을 은행에 저금을 하고 대출을 받는다. 그런데 은행도 하나의 사업인데, 그 은행은 어디서 돈을 끌어모아서 그 많은 돈을 대출해주는것일까? 은행의 "지급준비제도" 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급준비제도란 가령 시장에 100만원만 있다고하자. 이 돈을 A은행에 저금을 했다면 은행은 10%인 10만원만 두고 나머지 90만원은 대출을 할수있다. 그렇다면 은행이 90만원을 대출해주면 시장에있는돈(100만원) +A 은행이대출가능돈(90만원) =190만원 순식간에 100만원이 190만원이 .. 2022. 12. 4. 물가와 최저시급! 내년 최저시급을 적용한 한달월급이 200만원을 넘는다고한다. 무려 5퍼센트나 오른다. 하지만, 직원을 써야하는 자영업자나 기업의 사장들은 인건비때문에 직원수를 더 줄일것이고, 일자리는 더 줄어들것이다. 그리고 물가와도 연동시켜봐야하는데 소비자물가지수cpi 10년전 90언저리에서 지금 110 10년전보다 20퍼센트나 올랐다. 그리고 최근2년동안은 가파르게 10퍼센트를 올렸다. 요 며칠전 동네 중국집에 짜장면을 먹으러 갔는데, 짜장면이 6천원이었다. 필자가 기억속에는 짜장면이 2500 원 하던 시절이 분명히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6천원 ... 2배가 넘게 올랐다. 혹시나 해서 검색해봤는데, ㅎㅎ 이런시절이 있었다. ㅎ 2022. 12. 3. 너무 중요한cpi란? cpi란? costomer price index의 줄인말로 소비자 물가지수 즉, 한달동안 혹은 1년동안의 부동산, 음식, 의류비, 병원비, 교통비등의 가격의 상승을 그래프로 표현한것이다. 가장 가격이 높은 부동산이 퍼센티지가 높다. 이것들을 분석한 자료cpi의 수치가 발표되는날은 금융, 경제에 관심있는사람들은 모두가 주목하게된다. 그중에 미국의 cpi가 가장 관심이 높다. cpi가 왜 중요하냐? 바로 금리와 연동되기때문이다. 물가가 오른다면 금리를 올려야하고 금리가 오른다면 주식 시장에 있던 자금들은 은행으로 몰리게된다. 그래서 주식하는사람들은 cpi수치가 낮게 나오면 환호하는것이다. cpi도 두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cpi 그리고 근원cpi로 나뉘게된다. 위그래프가 그냥 cpi 위그래프가 근원cpi이다.. 2022. 12. 3. 양적긴축! 양적긴축! 경기가 안좋으면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내리고(금리인하) 금리를 내리는데도 경기가 안풀리면 돈을 시중에 풀게된다.(양적완화) 돈을 뿌릴만큼뿌려서 경기회복세가 보이니 "이제 돈뿌리는양을 서서히 줄이겠습니다." (테이퍼링) 그리고 중앙은행이 뿌렷던돈을 다시 회수(양적긴축) 종합해보면 금리인하-> 양적완화-> 테이퍼링 ->양적긴축 순으로 진행된다. 미국 연준의 자산 현황표이다. 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이후 양적완화를 진행했다. 1조달러 풀려있던돈이 08년이후 4조달러가 되었다. 그리고 연준은 17년도에 양적긴축을 시작했다. 그래프를보면 연준의 자산이 줄어드는것을 볼수있다. 그러다가 20년에 코로나가터지고 다시 연준은 급격하게 양적완화를 진행하여 2달만에 4조달러를 추가해서 총9조달러에 달하는 돈이 시.. 2022. 12. 2. 테이퍼링! ㆍ테이퍼링이란? '끝이 점점 가늘어진다' 라는 뜻으로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로 매달 돈을 시장에 풀고 있는데 그 돈을 푸는 양을 조금씩 줄이겠다는 것이다! 차트를 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미국중앙은행)의 자산이 21년도에 4조달러에서 8조달러로 증가했다. 우리나라돈으로 약5천조원이 시장에 삽시간에 풀게된것이다. 왜냐! 돈을 풀어서 기업을 살리고 경제를 살리기위해서다. 돈을 푼다는것은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드린다는뜻이다. 국가채, 회사채, 지방채등등 각종 채권들을 사들여서 각기업, 자치단체등등에게 돈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경제가 다시 살아날 즈음에는 다시 뿌렷던 돈을 수거해야하는데, 그 신호탄이 '테이퍼링'이다. 갑자기 뿌리던돈을 다 가지고가겠다고하면 시장은 혼란에 빠지므로 서서히 시장에푸는양을 조금씩 줄.. 2022. 11. 30. 이전 1 ··· 32 33 34 35 36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