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108

아듀! 22년 경제 이슈 22년 한해동안 정말 많은 일이있었다. 모든 경제,금융분야에서 하락이 일어났는데, 가장 큰 핵심, 원인은 40년만의 인플레이션 1980년대이후로 40년만에 물가가폭등을 하는 모습이다. 2%가 자본주의에서 추구하는 인플레이션목표이고 이를 초과할시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러시아-우크라전쟁으로 인플레이션을 초과속화하였다. 산유국인 러시아의 전쟁과 그리고 유통의 악화로 이번년도 유가는 60베럴선에서 120베럴 거의 2배나 뛰는 양상을 보여줬다가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고있다. 모든 산업의 핵심원료인 유가가 천정부지로 뛰니 인플레이션이라는 괴물을 더 빨리 만나게되었고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작되었다. 0%였던 미국기준금리가 무려 자이언트스텝(+0.75%)을 4번연속 이행! 이전에는 없었던 금리 초고속화였다. 이는 오직.. 2022. 12. 31.
중국 위드코로나 이유는?? 중국이 3년만에 위드코로나를 선언했다. https://youtu.be/_Tva2iuu6eo 하루에 사망자만 5천명으로 추정! 감염자가 아니고 사망자이다. 중국은 마치 우리나라 22년초에 코로나 폭풍이 칠때의 공포를 이제서야 느끼고 있다고보면된다. 우리는 이제 앤데믹으로 코로나에 대해 면역이생겨서 단순히 조금심한 감기정도로만 여기고있지만, 중국은 아니다. 공포 그자체이다. 마치 좀비영화에서 픽픽 쓰러저가는 사람들을 보듯이, 그 공포가 중국에 서려있다. 최근 중국에서 "제로코로나"정책에 분노한 시민들이 공산국가에서 보기힘든 집회를 하고 시진핑 퇴거를 외치는 뉴스를본적있을것이다. https://youtu.be/62we53f31vs 그래서 중국에서 꺼내든 정책 "위드코로나"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2022. 12. 30.
12/22일 시황! 아직 연준이 무서운시장! 미국시장이 폭락하고 오늘 코스닥이 -3% 코스피도 하락이 나왔다. 왜하락했을까?? 어제 발표된지수 3분기 GDP 미국 지표가나왔다. 예측2.9%보다 3.2%로 좋게 나왔다. 원래라면 국내총생산GDP가 좋게 나오면 주가 상승이 정상! 하지만 22년도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미국의 긴축정책으로 엄창난 하락장을 경험하였다. 하락장에는 지표가 좋게 높게나오는것이 악재다. 왜냐? 미국 연준이 금리를 더올릴거라는 두려움때문이다. 자이언트스텝(0.75pp)를 4번이나 실행하여 작년0%의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4.5% 주식시장이 가장무서워하는 금리! 채권시장이 더 무서워하는 금리! 최근 연준의장 파월은 다시 비둘기로 변했고, 천천히 금리인상을 한다는 발언을 하였고 시장은 내년초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5.5%까지정도로 오.. 2022. 12. 24.
12/22일 시황! 아직 연준이 무서운시장! 미국시장이 폭락하고 오늘 코스닥이 -3% 코스피도 하락이 나왔다. 왜하락했을까?? 어제 발표된지수 3분기 GDP 미국 지표가나왔다. 예측2.9%보다 3.2%로 좋게 나왔다. 원래라면 국내총생산GDP가 좋게 나오면 주가 상승이 정상! 하지만 22년도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미국의 긴축정책으로 엄창난 하락장을 경험하였다. 하락장에는 지표가 좋게 높게나오는것이 악재다. 왜냐? 미국 연준이 금리를 더올릴거라는 두려움때문이다. 자이언트스텝(0.75pp)를 4번이나 실행하여 작년0%의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4.5% 주식시장이 가장무서워하는 금리! 채권시장이 더 무서워하는 금리! 최근 연준의장 파월은 다시 비둘기로 변했고, 천천히 금리인상을 한다는 발언을 하였고 시장은 내년초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5.5%까지정도로 오.. 2022. 12. 24.
일본 드디어 금리 올린다.! 일본 기준금리는 1995년 부터 기준금리가 1% 가 안된다. 현재는 -0.1% 국가부채가 많은 일본은 이번년도 많은국가들이 금리를 올렸지만, 거기에 동참하지못한다. 빛이 많으니 이자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세계 최고 비둘기라고 불리는 일본의 중앙은행구로다총리가 드디어 사실상 금리인상발언을 하였다. 일본의 물가가 3.7%올랐다. 이는 일본의 내수시장이 활발해서 물가가올랐다기보다는 해외의 수입가격이 오르게되어서 물가상승으로 보인다. 이에 일본도 어쩔수없이 긴축정책에 동참하는것으로 보인다. YCC밴드란? 채권가격변동의 상한선,하한선을 제안하는것이다. 원래는 +0.25%,-0.25% 였지만 이번에 +0.5%, -0.5%로 폭을 2배로 키우게 되었다. 이는 사실상 긴축정책으로 볼수있다. 구로다총재는 금리인상까지는 안.. 2022. 12. 21.
한전은 -30조적자인데, 전기공급하는 발전소는 최대이익! 전기는 어떻게 생산될까? 한전은 전기를 만드는곳은 아니다. 전기를 만드는곳은 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석탄발전소, LNG발전소, 중유발전소등) 한전은 전기를 전달해주는 마치 도매상인,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곳이다. 여기서 한전이 어떻게 전기를 발주하는지 알아보자 예를들어, 전기는 보관할수있는 장소가 없으므로, 매일매일 한전은 발전소에게 물량을 제시한다. "내일 전기 100만큼필요합니다." 그러면 석탄발전소, 원자력, LNG, 중유발전소에게 경매를 진행하게되고 석탄 : 1kw에 50원 원자력 : 1kw에 60원 LNG : 1kw에 100원이요! 이렇게 경매가 이뤄지고 채워야할할당량 100이 채워지면 제일비싼 중유는 다음기회에.. 이런식으로 돌아가게된다. 참고로 가격은 (윈자력 < 석탄 < LNG 2022.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