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달러2

환율 1,300원 → 1,400원대, 왜 이렇게 올랐을까요?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서 1,400원대로 급등하면서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달러 강세와 원화 약세가 심화되면서 수입 물가 상승,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기업의 원가 부담 증가 등 여러 경제적 파장이 예상됩니다.이번 글에서는 환율 상승의 주요 원인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1.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한·미 금리 차 확대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강한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을 펼치며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반면 한국은행은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문제로 인해 금리 인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이로 인해 한·미 간 금리 차이가 벌어지고, 글로벌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위해 달러를 선호하게 됩니다.결과적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고, 환.. 2025. 3. 9.
달러인덱스란?? (환율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흔히 환율을 애기할때, 우리는 원달러환율을 애기한다.지금은 원/달러 환율이 마의 벽 1450원을 넘은 초 강달러 시기로 접어들었다.하지만, 이는 우리나라와 미국만을 두고 비교한 분석이다.즉, 원달러 환율을 상승하여서 우리나라입장에서는 강달러이지만, 다른나라의 입장에서는 강달러인지,약달러인지 알수가없다. 이때 봐야하는것이 달러인덱스이다.달러인덱스란 전세계와 달러를 비교하여서 강달러, 약달러를 알수있는 지표이다. 달러인덱스에 포함되는 통화는 세계 경제 규모로 따졌을때유럽 - 유로화 57%일본 - 엔화 14%영국 - 파운드화 12%캐나다 - 캐나다달러 9%스웨덴 - 크로화 4%스위스 - 프랑 3.6%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스웬덴 크로화나 스위스의 프랑이 세계 경제 규모가 있냐고 따졌을때, 그보다 이 두 통.. 2024.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