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디어 10,000원 넘었다!" vs "이게 오르긴 한 거야?"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이제 시간당 1만 원 시대가 열렸다고? 와, 대단한데?!
…라고 생각했지만,
2024년과 비교해보니 겨우 170원(1.7%) 오른 수준입니다.
물가 상승률은 3~4%인데, 이거 실화인가요?
작년과 비교한 변화를 한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
2. 2025년 vs 2024년 최저시급 비교!

(주휴수당 포함, 세전 금액 기준)
작년보다 월급 3만 5천 원, 연봉 42만 원 증가!
그런데… 물가가 오른 것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체감은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최저시급 10,030원, 현실적인 월급은?
① 세전 기준 월급 & 연봉
월급 =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연봉 = 2,096,270원 × 12개월 = 25,155,240원
②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은?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공제
소득세 및 지방세 공제
→ 결국 실수령액은 약 190~195만 원 수준
"와, 월급 200 넘었다!" 하고 기뻐하다가
세금 떼고 나면 "어…?" 하게 되는 현실…

4. 주휴수당 & 수습기간 월급 계산
✔ 주휴수당이 뭐길래?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유급휴일(주휴수당) 보장
즉, 일한 만큼 추가로 8시간치 시급 지급
이게 포함돼야 월급 계산이 맞아떨어집니다.
주휴수당 없이 시급 계산하면 안 돼요!
✔ 수습기간 최저시급 감액 가능?
1년 이상 근무 계약 시 최저시급의 90% 지급 가능(3개월까지)
9,027원 × 209시간 = 월급 약 188만 원
하지만, 단순노무직이나 1년 미만 계약자에게는 감액 적용 불가!
5. 최저임금 인상, 현실적인 영향은?
ㆍ근로자 입장
월급이 올랐지만 물가도 올라서 체감 소득 증가 효과는 미미
"월급 오른 김에 생활비 좀 넉넉해지나?" → 체감은 크지 않음
ㆍ사장님 입장
인건비 부담 증가 → 채용 줄이거나, 자동화 도입
"아무래도 인건비 줄이려면 알바 시간 줄여야 하나?" 고민 시작
결국…
최저임금 인상 = 근로자에게는 약간의 월급 증가, 사장님에게는 부담 증가
6. 결론: 2025년 최저시급, 기대 vs 현실
✔ 시급 10,000원 돌파! 하지만 인상 폭은 1.7%로 역대 최저 수준
✔ 월급 209만 원, 연봉 2,515만 원(세전) → 실수령액은 190만 원대 예상
✔ 주휴수당 포함, 수습기간 90% 지급 가능(일부 직군 제외)
✔ 물가 상승률 대비 인상 폭이 작아서 체감 효과는 적을 수도
"와! 최저시급 올랐다!"
"근데, 물가도 같이 오르면 실질적으로 나아지는 건 없지 않나…?"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근로장려금 신청 진행 중!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0) | 2025.03.12 |
---|---|
2025년, 자영업자의 무덤이 된 한국 – 경기침체가 만든 참혹한 현실 (0) | 2025.03.12 |
중국, 한국 반도체를 역전할까? – 다가오는 위기 (0) | 2025.03.11 |
미국 증시 폭락! 트럼프 관세 정책이 시장을 흔들다 (0) | 2025.03.11 |
국민연금의 증시 부양, 우리 돈은 안전할까? (0) | 2025.03.11 |